콘텐츠산업 현장의 축적된 지식 풀 활용해야
미약할 수 있습니다.미덥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
하지만이제는 스스로 자립하여시집 장가도 가야 하지 않겠는가 합니다.
내가 만약 정책결정권자라면,
모든 지원 체계를- 산업 현장 전문가와 개별협단체들에게위상을 고양시키고 자율권을부여하는 방향으로
- 개별 산업 장르의 융합과 협업을촉진하는 방향으로 확립해 나갈 것입니다.
심사와 평가 시스템을
- 통합과 융합화전문화와 세분화의 틀 안에서- 기업가정신과 콘텐츠IP무형의 자산가치를평가해 나가도록 할 것입니다.
지원대상 선정의 원칙도
- 성공과 실패, 도전과 리스크 테이킹,
- 콘텐츠 창조역량 축적의 경험을 우선순위로선정하도록 혁신해 나갈 것입니다.
중앙과 지역의 지원기관 역할 정체성을확립하고자 노력하고
콘텐츠 생태계의 정책리더쉽을 끊임없이고민해 나갈 것입니다.
예산운용의 대원칙을콘텐츠산업 현장의 축적된 지식 풀
최대치로활용하는 방향에서 세워나갈 것입니다.
전충헌 올림
'마켓 생태계 >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식기반창조경제에서의 지식의 총량 (0) | 2018.04.22 |
---|---|
페이스북 행복론 (0) | 2018.04.10 |
콘텐츠산업 현장의 축적된 지식 풀 활용해야 (0) | 2018.03.28 |
JOB CREATION, 첫째도 일자리, 둘째도 일자리, 셋째도 일자리 (0) | 2018.03.15 |
한류문화콘텐츠의 제 4의 의의 (0) | 2018.03.14 |
한류문화콘텐츠의 제 3 의 의의 (0) | 2018.03.14 |
댓글을 달아 주세요